건강정보

건강칼럼
건강강좌
관련질환
검사정보
영양과 질환
이럴땐 이렇게

건강강좌

사랑의 나눔이 있는 의원 여러분을 섬기는 자세로 진료에 임하겠습니다.


아프니깐 청춘이다? ‘우울증’늪에 빠진 20대
‘아프니깐 청춘이다’라는 말이 현실이 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우울증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 중에서 10~20대가 눈에 띄게 늘었다. 특히 20대 우울증 환자는 2014년보다 97% 증가한 98,434명으로 나타났다. 20대 청년들이 우울증을 겪는 가장 큰 이유는 ‘취업 스트레스’로, 이 밖에도 학자금 부담이나 금전 문제, 대인관계 고민 등도 심리적 압박이나 불안감을 주는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우울증을 극복하는 생활습관은?

20대 우울증

우울증은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나을 수 있는 질환이다. 약물, 심리 치료를 비롯해 긍정적인 마음가짐과 생활 습관을 지니면 우울한 마음을 떨쳐버릴 수 있다.

▲ 스트레스 제어하기

스트레스가 심하면 우울증 발생 위험은 더욱 커진다. 평소 자신이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편이라고 생각한다면, 스트레스의 원인을 줄이고자 하는 노력과 함께 스트레스에 좀 더 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일과를 마치고 난 뒤, 메모지와 펜을 꺼내 오늘 나의 기분에 영향을 준 일들을 기록하면서 스스로 질문을 던져보자. ‘나에게 일어날 수 있는 최악의 일과 최선의 일은 무엇인가?’, ‘나의 결정을 믿어서 내가 얻는 이득은 무엇인가?’ 등의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생각하게 되면 스트레스 관리에 도움이 된다.

▲ 명상과 요가로 우울증 다스리기

명상과 요가는 심신 안정에 도움을 주고, 우울증을 완화하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 간단하게 집에서 할 수 있는 명상법으로는 느린 복식호흡을 하면서 하루 10분 만이라도 생각을 멈추고 코끝에 느껴지는 들숨과 날숨에 집중한다. 복식호흡은 편안한 의자에 앉아 마음을 가라앉히고, 손은 배 위에 편안하게 올려놓는다. 숨을 들이쉴 때 배가 올라가고, 숨을 내쉴 때 배가 내려가는 방법으로 숨을 쉬되, 가슴과 어깨가 들썩이지 않도록 한다.

만성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교감신경이 흥분하면 호흡이 빨라지면서 신체 내 산·염기 균형이 깨져 가슴이 답답하고 어지럼증을 느끼게 되고, 온몸의 근육이 긴장된다. 이때에는 점진적 근육 이완법을 하면 효과적이다. 자신의 근육 긴장도를 느끼면서 어깨 근육과 목 부위, 복부 근육 순으로 수축시키고 긴장을 유지한 뒤, 서서히 이완시키면서 감각에 집중하도록 한다.

▲ 알코올은 우울증의 적

술을 마시면 스트레스와 피로가 풀리는 것처럼 느껴지지만, 오히려 수면의 질을 저하하고 우울증 치료 시 약물의 작용을 방해하고 충동성을 악화시킬 수 있다. 또한, 알코올에 길들면 뇌에서 분비되는 도파민과 같은 기분이 좋아지는 신경전달물질의 양이 줄어들어 우울증에 악영향을 끼치므로 절대적으로 멀리해야 한다.

▲ 운동하는 습관 들이기

걷기, 등산과 같은 유산소 운동은 도파민 등 신경전달물질 분비를 유도해 우울감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햇볕이 따뜻한 시간에 야외에서 운동하거나 가벼운 산책을 하면 기분이 상쾌해지고 식욕이 좋아지며, 숙면에도 효과가 있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

이전글 : 잇몸병에 좋은 알란토인 치약이란?
다음글 : 몸을 바꾸는 작은 습관, ‘식사일기’ 어때요?